82년생 김지영 소개

동명의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출간 이후 페미니즘 논란에 휩싸이기도 한 작품입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82년생인 김지영 (정유미)이라는 한 여성이 우리나라에서 살아가는 이야기를 다루었습니다.

시놉시스

 

 

명절에 시댁에서 한참 집안 일을 하던 지영은 갑자기 뭔가 씌인듯 시어머니에게 "제 딸도 귀하니 집에 보내 주시오 사부인"이라며 호소하기 시작합니다. 그녀는 남편(공유)에게 당시 상황을 기억하지 못하며 시어머님이 왜 음식을 싸주지 않았냐고 물어봅니다. 

 

그 뒤로도 다른 사람에게 빙의된 모습을 보입니다. 그런 지영이 걱정된 남편은 유아휴직을하고 지영에게 사회생활을 할 것을 제안합니다. 이 사실을 알게된 시어머니는 반대하고, 친정어머니도 지영의 상황을 알게 됩니다.

감상 소감문

저 역시 비슷한 또래에 육아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해본 입장으로 보았을 때 공감되는 부분이 많았습니다. 여기서 등장하는 김지영이 완벽하게 우리나라의 여성을 대표하진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김지영이 매우 특별한 일부 여성의 이야기가 아닌 것만은 분명합니다. 전부 혹은 대부분은 아닐 지라도 많은 여성들이 현재의 대한민국에서 겪는 환경을 표현하고 있었습니다. 우리나라 사회에서 엄마로 살아가며 겪는 이야기와 그걸 지켜보며 가슴아파하는 남편의 이야기입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남성은 무례하고, 생각이 없고, 여성을 무시하고 위압적인 인물들이 너무 많이 등장하는 점이 극의 몰입을 방해합니다. 물론 극적 효과를 위해 과도하게 설정된 부분은 있다고 해도 너무 작위적인 설정이 단편적으로 등장하는 것이 작품의 완성도를 떨어뜨립니다.

페미니즘에 관한 생각

참고로 저는 소위 말하는 레디컬 페미니즘은 매우 싫어합니다. 불과 20년 전 제가 20대일 때는 저 스스로 페미니스트라고 이야기 한 적도 있지만 지금은 그 단어의 의미가 많이 변질되어서 이젠 저를 어떤 성향이라고 말해야할지 난감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길게 설명하자면 여성의 인권이 선진국 수준으로 더 성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우리나라 젊은 남성은 여성에 대한 잠재적 가해자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과거 가부장적 사회는 장점만 취하고 변화할 필요가 있으며, 지금의 젊은 남성은 가부장제의 수혜를 받은 세대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중장년층도 가부장적 사회를 그들이 선택한 것도 아니며 그렇게 평생을 그렇게 교육받으며 자라왔고 그게 당연한 문화에서 살아온 세대일 뿐입니다. 가부장제 속에서 남성은 악하고, 여성은 선량한 피해자라는 인식은 정말 얼토당토 않은 생각일 뿐입니다. 지금도 그렇지만 우리 모두는 남성, 여성 모두 하루하루 힘겹게 살아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 시댁 스트레스, 육아의 어려움 등 우리나라에서 개선해야할 사항은 너무나 많습니다. 이것은 남성과 여성 모두가 인식하고 함께 개선해야할 문제이고, 82년생 김지영에서 말하지 않아도 우리나라 사람들이라면 충분히 인식하고 있습니다. 굳이 영화에서 처럼 수많은 사례를 나열하며 자극적으로 알릴 필요가 있었을까 싶은 생각도 듭니다. 가장 시급한 부분은 여성의 사회 진출을 돕는 제도적 개선이고, 사회 활동이 늘어나면 인식의 전환은 자연스럽게 뒤따라 올것입니다.

 

영화에서도 육아와 경력 단절을 할 수 밖에 없는 사회적 상황과 그에 대한 문제 제기를 위주로 더 깊게 표현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